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

심적인과(Mental Causation) 문제를 개괄적으로 알아 봅니다. 몸과 마음의 인과관계에 관한 문제는 데카르트에 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존재가 정신과 신체라는 두 가지 실체로 나누어짐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엘리자베스 공주는 정신은 사유를 본질로 가지고 공간에 위치해 있지 않지만 신체는 연장성(extension)을 지니고 공간에 위치해 있는데 어떻게 연장성을 지니지 않은 정신이 연장성을 지닌 신체에 영향을 미치냐고 묻는다. 엘리자베스 공주의 물음은 현재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비물리적인 마음이 물리적인 신체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물리적인 사건의 원인은 항상 물리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물리계의 인과적 폐쇄 원리를 고려할 때 이러한 물음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현대 이전의 마음에 관한 문제는 다소 존재론적인 성격을 .. 2020. 1. 30.
도덕적 절대주의, 상대주의 그리고 회의주의 요약 규범윤리학이 지닌 주요한 물음 중의 하나는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이 무엇이냐이다. 만약 어떤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지에 대한 도덕적 판단 기준이 존재한다면 그러한 기준은 보편적 기준인가 아니면 상대적 기준인가? 이러한 물음에는 세 가지 대답이 존재한다. 도덕적 절대주의(moral absolutism)는 단일한(혹은 유일한) 보편적 기준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회의주의(nihilism)는 그러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긴다. 마지막으로 상대주의(relativism)은 그러한 기준이 사람들이나 집단 혹은 행위를 판단하는 상황에 의존한다고 여긴다. 그래서 이들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도덕적 절대주의: 행위의 옳고 그름에 관한 보편적인 기준(혹은 사실)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2020. 1. 29.
아리스토텔레스의 영속적 행복(permanent happiness)에 대해 1. 들어가며 우리의 삶은 행복해야 하는가? 행복의 한자 표현은 ‘幸福’으로 다행할 ‘幸’(행)자에 복 ‘福’(복)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표현의 의미를 따르자면 행복이라는 것은 복된 삶을 누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복된 삶이란 어떠한 삶인가? 어떤 사람은 복된 삶이 부(富)하고 귀(貴)한 삶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갑자기 공자님의 부귀재천(富貴在天)이란 말이 떠오른다. 이 말은 부하고 귀한 것은 하늘의 뜻이므로 우리가 노력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해되곤 한다. 이런 말을 따르자면 ‘행복’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이 제시될 수도 있다. ‘행복하다’는 것은 부하고 귀하게 사는 것이나 삶의 목표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행복은 우리 삶의 목표가 아니며 할 수 없.. 2020. 1. 28.
토마스 스캔런(Thomas Scanlon)의 계약주의 요약 (1) 토마스 스캔런의 계약주의 토마스 스캔론의 계약주의는 루소의 “사회 계약론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이론이다.도덕률은 다른 사람들과의 가설적 동의(hypothetical agreement)에 의해 구성(contructed)되었다는 생각을 핵심으로 가지기에 도덕률에 관한 (국소적) 구성주의적 입장을 견지한다. 그는 계약주의에 있어 옳고 그름의 도덕을 고찰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식은 나의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를 물어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러한 개별 행위의 정당화 가능성을 보기 위해 그 행위를 허용하는 원칙을 찾아야 하며 더불어 그 원칙을 다른 사람들이 합당하게 거절할 수 있는가를 물어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그름에 대한 정식은 다음과 같다. 스캔론의 정식(Scanlo.. 2020.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