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서주의4

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감성의 윤리학 규범윤리학이 지닌 한 가지 중요한 물음은 어떤 행위가 왜 옳은가에 대한 것이고 이러한 물음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과 도덕적 행위의 동기부여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동기부여력은 정념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여겼다. 먼저 흄은 도덕적 판단이 이성이 아니라 주관적 감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여겼다. 그는 근본적으로 도덕적 진술이 진리값을 지닌다고 여기지 않았다. 예컨대 ‘고의적 살인은 악이다’라는 진술은 행위 그 자체의 성질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를 바라 볼 때 생기는 우리의 감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여긴다. 즉, 여기서의 선과 악이란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행위나 인격 자체.. 2020. 2. 29.
도덕적 판단에 대한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에 대해. 도덕적 판단에 대한 인지주의(cognitivism)에 따르면 도덕적 판단은 사실(fact)에 대한 것이며 이에 관한 진술은 참 혹은 거짓의 진리값을 지닐 수 있다. 인지주의는 도덕적 속성이 우리의 마음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여기는 도덕적 실재론과 함께 주장되기도 한다. 실재론적 인지주의자들은 우리의 도덕 판단과 이에 관한 진술은 이 세상에 실재하는 도덕적 사실에 대한 기술이기 때문에 그것의 참 혹은 거짓 여부를 확정지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비인지주의(non-cognitivism)는 도덕적 진술은 진리값을 지닐 수 없으며 도덕적 판단은 사실에 대한 것이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비인지주의는 도덕적 속성이 우리 마음에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2020. 2. 29.
도덕적 자연주의와 직관주의에 대해 (무어의 열린 물음 논증) 자연주의 윤리설과 무어의 열린 물음 논증. 자연주의(naturalism)는 우리가 믿어야 하는 사실(facts)은 자연과학의 동의를 얻은 혹은 최소한 양립가능한 것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자연주의 윤리학 혹은 도덕적 자연주의는 경험과학에서 사실을 판단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덕적 판단의 옳고 그름을 설명하려고 한다. 자연주의 윤리론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로, 자연주의 윤리설은 도덕적 용어가 자연적 속성을 지닌 용어를 통해 정의됨을 주장한다. 예를 들어, ‘선’(good)을 ‘쾌락’(pleasant)이나 ‘우리가 가지기를 욕구하는 바를 만족시키는’(satisfies a desire we desire to have)와 같은 용어로 정의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덕적 판단은 도덕과 무관.. 2020. 2. 29.
도덕적 회의주의 요약: 존 맥키와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적 회의주의를 이해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불필요한 논의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제(thesis)를 부정하는 도덕적 회의주의의 유형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우리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합리성에 근거한 객관적인 도덕적 참이 존재한다.’ 이 경우, 세 가지 유형의 도덕적 회의주의가 가능하다. 첫째로 객관적인 도덕적 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 있다. 둘째로, 도덕적 판단이 우리의 합리성이 아닌 주관적 감성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입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덕적 규범은 지배 계층의 영속적인 지배를 합리화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는 도덕적 규범에 대한 도구주의적 입장이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입장을 주장하는 철학자로는 존 맥기(John Mackie)가 있으며 두 번째 입장.. 2020.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