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춰락/율뤼확

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감성의 윤리학

by 로짘 2020. 2. 29.

규범윤리학이 지닌 한 가지 중요한 물음은 어떤 행위가 왜 옳은가에 대한 것이고 이러한 물음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과 도덕적 행위의 동기부여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동기부여력은 정념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여겼다.

 

먼저 흄은 도덕적 판단이 이성이 아니라 주관적 감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여겼다. 그는 근본적으로 도덕적 진술이 진리값을 지닌다고 여기지 않았다. 예컨대 고의적 살인은 악이다라는 진술은 행위 그 자체의 성질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를 바라 볼 때 생기는 우리의 감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여긴다. , 여기서의 선과 악이란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행위나 인격 자체 안에 있는 요소라기보다는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관찰자 자신의 시인 혹은 부인의 감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도덕성은 판단되기보다 느껴진다고 말하는 편이 더 적절하다.

 

또한 흄은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이성이 아니라 감성이라고 여겼다. 흄에 따르면, 이성이 논증적 지식이나 명제에 관련된 것이기에 이것이 유용하지만 우리의 의지에 영향을 줄 수는 없다고 여겼다. 말하자면, 이성은 어떤 사실을 확인할 뿐, 칭찬이나 비난을 통해 어떤 것을 지시하지는 못하므로 행위를 이끄는 동기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한 음식을 먹는 것이 우리를 병들게 한다는 지식 때문에 우리는 상한 음식을 먹지 않는다고 여긴다. 하지만 흄은 어떤 사건이 다른 사건을 일으킴을 안다는 사실이 행위의 동기를 부여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때 우리가 상한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은 상한 음식을 먹음으로써 우리가 고통을 겪에 될 것임을 알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고통에 대한 혐오나 쾌락이 대한 집착 등이 우리의 의지에 영향을 줌으로써 행위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성은 감정에 의해 설정된 목적 그 자체와 관련되지 않고, 오직 그 목적의 실현을 위한 수단과 관련될 뿐이다. 이 점에서 이성은 정념의 노예가 된다는 것이다.

 

흄의 이러한 입장은 현대의 에이어(A.J. Ayer)와 같은 철학자에게 있어 정서주의(emotivism)으로 발전되기에 이른다. 다만 에이어는 도덕적 판단의 보편성을 부정하고 윤리학이 더 이상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학문일 수 없다고 여긴다. 하지만 흄은 시인과 부인 및 공감의 보편성을 통해 도덕의 보편성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보편적인 도덕적 감성을 지녔음을 고려함으로써 도덕의 보편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주변에서 일어나는 어떤 일들은 나에게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시인의 감성을 일으키며 다른 일들은 부인의 감성을 일으킨다고 말한다. 그래서 도덕적 시인의 감성을 일으키는 행위는 선하며 도덕적 부인의 감성을 일으키는 행위는 악하다고 말한다.

 

특히 이러한 도덕적 시인의 감성에는 자비심이 있는데, 우리는 자비심이 많고 인간적인 사람들을 칭찬하는 이유는 그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들이 사회에 이익이 되기 때문이며 공적 효용을 산출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공적 효용이 인류에게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도덕적 시인의 보편성을 설명해 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왜 이러한 공적 효용을 우리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인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 물음을 제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대답이 가능한데 하나는 이기주의적인 입장으로 자기 이익을 채우기 위함이며 다른 한 가지 방향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sympathy)을 지니기에 자연스럽게 인류의 복지를 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흄은 우리가 과거에 행해진 덕이 있는 행위나 나와 관련 없는 먼 나라에서 행해진 덕이 있는 행위에 대해 찬사를 보내는 사실을 고려하며 만약 우리가 이기적이라면 그러한 도덕적 시인의 감정을 드러내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는 동정심을 지니고 있고 그렇기에 도덕적 부인과 시인의 감정을 통해 도덕적 판단 및 도덕적 동기부여력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참고. 흄과 에이어의 정서주의는 어떤 의미에서 도덕적 회의주의로도 고려됩니다. 도덕적 회의주의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