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천철학12

가다머의 이해의 순환과 하이데거의 이해의 앞선 구조 ‘한 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하나밖에 없다’는 생각에 대한 비판으로 가다머는 텍스트의 개방성 테제를 이야기 한다. 즉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존재를 드러내고 구성하는 그래서 텍스트 역시도 구성하고 있는 해석자의 시간 혹은 시대의 선입견이고, 모든 시대는 유명한 텍스트에 관한 그 자신의 타당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이해는 독자의 '선입견(Vorurteil)'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제 이해의 순환은 해석학적 방법의 특성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기초적이며 존재론적인 측면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가다머의 이러한 입장은 하이데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현존재는 이해로서 자신의 존재를 가능성에로 기획투사(Entwurf)한다. 하이데거는 해석의.. 2020. 2. 29.
해석학에서 딜타이의 체험, 표현, 이해 그리고 객관정신에 대해 1. 딜타이의 체험·표현·이해 딜타이의 문제의 출발점은 정신과학적 객관성의 확보이다. 그러나 이는 정신과학의 탐구자가 자신의 고유한 시간과 역사를 갖고 있고 불가피하게 자신의 시대에 자신의 시야에 의해 규정되어야 인식조건 때문에 한결 복잡한 문제가 된다. 만약 정신과학이 하나의 ‘과학’이기 위해서는 모든 과학 그 자체에 포함된 보편타당성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를 딜타이는 ‘삶의 경향과 정신과학의 과학적 목표 간의 갈등’이라고 표현한다. 가다머는 이 갈등을 ‘유한하고 역사적인 인간의 관점 구속성’과 모든 상대적 관점을 넘어서는 ‘정신과학적 인식’의 객관성 간의 갈등으로 구체화한다. 즉, 가다머에 따르면 딜타이는 역사주의자로서 인간적 존재자의 근원적인 역사성을 승인하지만, 또한 정신과학의 논리학자로서.. 2020. 2. 29.
토마스 네이글의 행위자 상대적 이유의 문제와 의무론의 역설에 대해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지니는 한 가지 차이점은 의무론적 제한(deontological constraint)이다. 이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 되는 행위들의 집합을 규정한다. 의무론적 제한은 결과주의적 입장을 고수할 경우에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이유로 허용될 수 있는 행위들을 제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노예제도나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낸다는 이유로 정당화되는 살인 등의 사례를 제지하는 기능을 한다. 의무론적 제한과 관련한 핵심적 개념으로 ‘행위자 중심적 특권’(agent-centered prerogatives)이 있는데 이는 도덕적 주체들이 경우에 따라서 (특히 의무론적 제한을 넘어서는 경우) 도덕적 희생을 하지 않아도 되는 우선적인 선택권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1명을 죽임으로써 죽을.. 2020. 2. 29.
크리스틴 코스가드의 구성주의와 소급논변(regressive argument) 요약 크리스틴 코스가드의 윤리학적 입장은 ‘구성주의’(constitutivism)라고 불린다. 윤리학에서 구성주의는 거칠게 말해, 사람들 간의 일치 또는 합의에 의해 규범적 참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도덕적 가치가 구성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여기는 입장이다. 도덕적 가치가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구성주의 윤리학이 가능할 것이나 현대의 구성주의는 존 롤즈(John Rawls)가 칸트적 구성주의를 제시하면서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1. 코스가드의 구성주의의 특징: 인간의 자율성이 책무(의무)의 원천이다. 코스가드는 칸트와 현대의 칸트적 구성주의자들 특히 롤즈가 “도덕적 규범성의 원천은 행위자 자신의 의지에서 발견된다”는 입장을 따른다. 그리고 그녀는 칸트적 구성주의의 핵심을 인간의 자율성이 우리.. 2020.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