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의 핵심 논제에 대한 콰인(Quine)의 반박 콰인의 “경험주의의 두 도그마(Two Dogmas of Empiricism)"(이하 “두 도그마(Two Dogmas"))과 “Truth by convention"은 논리실증주의의 핵심 논제에 대한 강한 비판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결론부터 말해 콰인의 “두 도그마”는 첫 번째로 분석성(analyticity)은 엄밀하게 정의될 수 없음을 보이고 두 번째로 논리실증주의의 검증원리(verification principle)가 분석성에 대한 만족할 만한 설명을 제공하는지 검토한다.(분석적 명제․종합적 명제 구분도 명확하지 않음을 지적) 또한 그의 “Truth by convention"은 선험적 진리(a priori truth)가 약정(convention)에 의해 제시될 수 없음을 논한다. 콰인의 두 논문이 .. 2020. 1. 21.
기계가 인간 보다 똑똑해 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Philosophy Break에서 지난 2019년 12월에 잭 매이든(Jack Maden)에 의해 발행된 "What Happens When Machines Become Smarter than People?"을 소개합니다. 번역을 한 것이 아니라 글을 읽고 이해한 바대로 전하는 것이라 본문과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철학자 다니엘 데넷(Daniel Dennett)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파국의 특이점(catastrophic singularity)을 우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그가 걱정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 글은 그가 고려하는 인공지능의 실질적이고 실제적인 위험을 소개합니다. 지난 달,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이 은퇴했습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 2020. 1. 21.
토마스 네이글의 행위자 상대적 이유와 의무론의 역설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지니는 한 가지 차이점은 의무론적 제한(deontological constraint)이다. 이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 되는 행위들의 집합을 규정한다. 의무론적 제한은 결과주의적 입장을 고수할 경우에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이유로 허용될 수 있는 행위들을 제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노예제도나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낸다는 이유로 정당화되는 살인 등의 사례를 제지하는 기능을 한다. 의무론적 제한과 관련한 핵심적 개념으로 ‘행위자 중심적 특권’(agent-centered prerogatives)이 있는데 이는 도덕적 주체들이 경우에 따라서 (특히 의무론적 제한을 넘어서는 경우) 도덕적 희생을 하지 않아도 되는 우선적인 선택권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1명을 죽임으로써 죽을.. 2020. 1. 20.
레셀(B. Russell)의 논리 원자론은 왜 '논리 원자론'이죠? 거친 수준에서 러셀의 논리원자론을 복습해 보는 것도 좋겠다 싶어 넋두리해 봅니다. 깊게 들어가면 은근 난해하고 쉽게 막히는 게 러셀이라 조심 조심하면서 쓰겠지만 세상 너무 어렵게 살 필요 없잖아요? Munitz, M.,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및 Russell, B.,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를 참고했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러셀(Russell)의 논리원자론(Logical Atomism) 혹은 다원론(Pluralism)은 러셀 그 자신의 철학을 명명하는 명칭이며 그 정확한 내용에 대한 평가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난답니다. 뮤니츠(Munitz)가 제시하는 한 가지 해석은 러셀의 논리원자론은 헤겔(Hegel)의 일원론(monism)을.. 2020.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