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56

안셀무스의 ‘신 존재 증명’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비판. 안셀무스는 ‘신앙은 지성을 요구한다’는 말을 따라 신앙의 합리성을 증명하려고 했다. 그는 교리의 내용을 증명의 대전제로 보지 않고 언어와 논리를 통한 증명을 시도했다. 과 에서 제시된 그의 증명은 하나님을 최고선으로서의 존재 그리고 가장 큰 존재라고 고려하고, ‘최고선’과 ‘가장 큼’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논증이 제시된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의 증명은 최고선으로서의 신 존재에 대한 논의를 ‘존재’에 적용시킨 논증이 제시되고 있으며 에서는 이러한 논증이 ‘가장 큼’의 개념 분석을 통해 보다 발전된 방향에서 제시된다고 볼 수 있다. - 증명. 안셀무스의 모놀로기움 증명은 ‘선’을 통해 제시되며 최종적으로는 ‘존재’에 적용시킨 논변이 제시된다. 먼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들은 선을 지니고 있음이.. 2020. 2. 29.
중세 오캄의 보편 논쟁에 대해 11세기와 12세기에 걸쳐 스콜라주의 초기부터 그 발전과정 동안 지속되었던 문제는 실재론과 유명론의 문제였는데 이는 보편자와 관련이 있었다. 보편자의 문제는 플라톤의 이데아의 문제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제 3인간 논증 등을 통해 이를 비판한 바 있었다. 보편자 논쟁은 거칠게 말해, ‘사람’, ‘동물’과 같은 종과 유개념이 단순히 우리의 마음에 존재하는 개념상의 존재인지 아니면 우리의 마음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중세시대에 이 문제는 보에티우스(Boetius)의 에서 소개된다. 이 글에서 Porphyry는 ‘종과 유는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가, 혹은 오로지 개념으로서만 존재하는가? 종과 유가 그 자체로 존재한다면 감각적 사물 가운데 존재하는가 아니면 그것을 떠나서 존재하는가?’라고 묻.. 2020. 2. 29.
<필레보스>에서 나타난 플라톤의 거짓 쾌락과 참된 쾌락에 대하여. 플라톤은 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쾌락에 대해 논의한다. 그는 먼저 (1) 몸과 혼의 쾌락과 고통에 대해 논하고 (2) 세 가지 거짓된 쾌락에 대해 논하며 마지막으로 (3) 참된 (순수한) 쾌락에 대해 논한다. 먼저 몸과 혼의 쾌락과 고통에 대해 알아보자. 에서 플라톤은 몸과 관련된 쾌락과 고통, 혼과 관련된 쾌락과 고통 그리고 이들이 혼합된 경우를 구별한다. 먼저 몸과 관련된 고통은 갈증이나 허기와 같이 신체의 채워지지 않은 상태이며 그는 이것이 신체의 조화 상태가 해체된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해체 상태로부터 원래의 채워진 상태로 돌아가 신체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쾌락이라고 설명한다. 다음으로 혼과 관련된 쾌락과 고통은 우리 신체 상태의 쾌락과 고통을 예상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2020. 2. 29.
<필레보스> 대화편에서 플라톤이 말하는 인간의 좋은 삶을 한정과 비한정의 변증법적 관계를 통한 적도론(혹은 중용론)에 관해. 대화편의 주제는 “도대체 무엇이 좋은 것인가?”를 밝히는 것으로 특히 어떤 삶이 좋은 삶(행복한 삶)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는 인간 삶의 본으로서 좋음의 이데아의 기능에 대한 탐구이기 보다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이 일시적이며 순수하지 못함에도 어떻게 훌륭할 수 있는 가를 고려한다. 에서 플라톤(소크라테스)은 쾌락(hedone)과 실천지(phronesis)가 혼합된 삶이 좋은 삶이라고 여기는데 먼저 그는 쾌락도 실천지도 그 자체로 좋은 것이 아님을 논하고 혼합된 모든 삶이 좋은 것이 아니라 탁월하게 혼합된 삶이 좋음을 논한다. 먼저 플라톤의 쾌락도 실천지도 좋은 것이 아니라는 논변을 살펴보자. 그는 좋은 것은 완전하고(teleon) 충족적이며(hikanon) 택함직하다(haireton)고 말한다. 그리.. 2020.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