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춰락/UK-US춰락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의 핵심 논제에 대한 콰인(Quine)의 반박

by 로짘 2020. 1. 21.

콰인의 경험주의의 두 도그마(Two Dogmas of Empiricism)"(이하 두 도그마(Two Dogmas"))“Truth by convention"은 논리실증주의의 핵심 논제에 대한 강한 비판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결론부터 말해 콰인의 두 도그마는 첫 번째로 분석성(analyticity)은 엄밀하게 정의될 수 없음을 보이고 두 번째로 논리실증주의의 검증원리(verification principle)가 분석성에 대한 만족할 만한 설명을 제공하는지 검토한다.(분석적 명제종합적 명제 구분도 명확하지 않음을 지적) 또한 그의 “Truth by convention"은 선험적 진리(a priori truth)가 약정(convention)에 의해 제시될 수 없음을 논한다.

 

콰인의 두 논문이 비판하는 바는 기본적으로 논리실증주의자들이 따랐던 분석종합(Analytic Synthetic) 구분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는데 우선 분석종합 구분을 그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부터 알아보자.

 

논리실증주의 특징 세 가지

 

대표적인 논리실증주의자 A.J.Ayer의 경우 분석성과 종합성을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 명제가 분석적임은 명제를 구성하는 기호의 의미에 의해 참인 경우이며

) 명제가 종합적임은 그 명제의 타당성(validity)이 경험적 사실에 의해 검증(verified)될 경우이다.

 

여기서 우리는 논리실증주의의 두 가지 특징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논리실증주의에게 의미를 가지는 요소는 그 명제가 분석적이거나, 종합적이더라도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할 경우라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요소는 첫 번째 특징으로도 알 수 있듯이 특정 명제의 유의미성을 검증가능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verifiability)에 기댄다는 것이다. 논리실증주의자는 명제가 유의미함은 그것이 경험적으로 검증가능하거나 그것이 현재 검증가능하지 않더라도 원리상 가능하다면 검증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논리실증주의자의 세 번째 특징은 분석성과 선험성 그리고, 필연성(necessity)에 대한 해석에 있다. 그들은 선험적 진리(a priori truth)를 분석적 진리로 보는 동시에 논리적으로 필연인 진리(necessary truth)는 분석적이고 선험적인 것으로 봤다. 또한 선험적(그리고 분석적) 진리는 의미에 의해 참이며, 이들이 참임은 약정에 의해 제시된다고 생각했다.

논리실증주의에 대한 콰인의 비판은 이 세 가지 특징 위에서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했듯이 두 도그마는 첫 번째, 두 번째와 관련된 비판이며 “Truth by convention"은 세 번째 특징과 관련된 비판이다. 그렇다면 이제 콰인의 논리실증주의자에 대한 비판을 두 도그마로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두 도그마에서의 논리실증주의의 분석성 정의 비판

 

두 도그마에서 콰인은 첫 번째로 분석성이 엄격히 정의될 수 없다는 비판을 제시한다. 그는 분석종합 구분의 시초인 칸트에서부터 설명을 시작하는데 칸트는 분석 명제를 주어 개념 내에 술어 개념이 포함된 것으로 보았다. 콰인은 칸트의 분석 명제에 대한 정의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첫 번째는 개념적 포함이라는 개념은 분석적이란 개념만큼이나 설명을 요구한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칸트의 정의는 그 적용 대상이 주술 형식에 국한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말한다.

 

다음으로 콰인은 프레게를 고려한다. 프레게의 분석성은 논리 법칙(logical law)이 주어지면, 논리법칙에 의해 참인 진술이거나, 전제로서 올바른 정의(correct definition)만을 사용하여 논리 법칙에 의해 제시될 수 있는 진술이다. 하지만 콰인은 프레게의 분석성에 대한 정의 역시 올바른 정의를 전제한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설명을 위해 올바른 정의를 정의항과 피정의항이 동의적(synonymous)인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고 말하나 다시 또 동의성(synonymy)’을 설명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동의성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콰인은 정의항과 피정의항이 동의적이라는 것은 '필연적으로 진리치를 보존하는 하에서 치환 가능한 경우(necessarily interchangeability salva veritate)'라고 말한다. (외연이 같다고 진리값이 같은 것은 아니므로 필연성을 도입. e.g. 심장동물, 콩팥동물) 하지만 또 다시 필연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콰인은 "P가 필연적으로 참이다."는 단순히 "P가 분석적이다."고 말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우리는 분석성을 정의하기 위해 올바른 정의개념을 설명해야 했고, ‘올바른 정의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동의성개념을 설명해야 했다. 그리고 동의성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필연성개념을 설명해야 했고 필연성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분석성개념을 설명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원점으로 돌아온 것이다.

 

분석성올바른 정의동의성필연성분석성

 

콰인은 이렇게 분석성개념에 대한 정의는 설명적 순환성에 빠지므로 엄격하게 정의될 수 없다고 말한다.

 

(참고 몇 가지 제시되는 비판, "P가 필연적으로 참이다.”“P가 분석적이다.”로 이해한 논리실증주의의 방식이기에 순환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Kripke식으로 모든 가능세계에서 참으로 이해한다면 순환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콰인은 본질주의를 기피한 만큼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일지는 모르겠다.)

 

 

두 도그마의 두 번째 비판

 

두 도그마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논리실증주의의 검증주의적 의미론이 분석적 참에 대한 만족할 만한 설명을 제시하는 가에 대해 다룬다. 논리실증주의에 있어 문장이 참임에 대한 검증은 그 문장의 의미인 언어적 요소(linguistic components)와 그것이 나타내는 사실적 요소(factual components)간의 함수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눈이 희다.”가 참임에 대한 검증은 눈이 희다는 의미와 눈이 실제로 하얀 사실과의 함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이 때, 분석적 참과 논리적 참은 동의어이며 이들은 사실적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었다. , 문장이 검증에 있어 사실적 요소를 가지느냐 가지지 않느냐가 분석 문장(명제)이냐 종합 문장(명제)이냐의 기준이었다.

 

콰인은 분석적 참에 대한 논리실증주의자의 검증원리가 개별 문장이 따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고 비판한다. 'Duhem-Quine thesis'에 따르면 개별 진술에 대한 검증은 그것의 원인이라 생각되는 일상적인 전제 이외에 보조적인 가설(auxiliary hypothesis)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H로부터 O의 추론의 경우, O가 참이라면 H가 검증되었다고 여기나 실질적으로 O의 도출은 H를 받아들이는데 대한 다른 보조적 가설 A1,...,An을 필요로 하므로 H,A1,...,An으로부터 O를 도출하는 것이 된다고 한다. , 개별 진술은 따로 분리되어 검증 혹은 반증될 수 없고 전제들이 전체적으로 검증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두 번째로 콰인은 어떠한 진술도 수정(revision)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고 말한다. 문제는 여기서 말하는 진술에 논리 규칙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그는 양자론을 간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배중률의 수정이 제안되었음을 예로 든다.

논리실증주의에 따르면 논리규칙에 관한 진술의 참. , 논리적 참은 사실적 요소를 지니지 않으나 배중률에 관한 진술이 사실적 요소에 해당하는 경험과학의 변화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음으로 해서 논리(분석)적 참 역시도 사실적 요소를 지닐 수 있음이 보여진 것이다. , 콰인의 비판에 의해 논리실증주의자들의 분석종합 구분이 비판될 뿐만 아니라 검증원리에 의한 분석적 참의 설명 역시 어렵게 되는 것이다.

 

참고: Wright's criticism. The holistic picture implies that there are no statements of theory which are in principle immune to rational revision. 'No statement is immune to revision'이라면 (1) The rejection of the statement P best minimizes future recalcitrance. 에 대해 (2) The rejection of (1) is a good move. (i.e. best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future recalcitrance)가 있을 수 있고 (2) 역시 진술이니 (3) The rejection of (2) is a good move. 가 있을 수 있고 이는 무한 퇴행이 가능하다. 

 

Truth by convention

 

앞서 필자는 논리실증주의의 세 번째 특징으로 선험분석적 참은 약정에 의해 제시됨을 언급했다. 이제 “Truth by convention"에서 콰인이 제시한 이에 대한 비판을 살펴 보자. 콰인의 논지는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는데 만약 철수가 (1)E(2)EA를 참으로 받아들임에도 A를 참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이때 영희가 철수에게 ‘EEA가 참이면 A가 참이다고 말하며 이때의 이면의 사용에 관한 약정이 (3) (E&(EA))A 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철수는 다시 그렇다면 ‘(1),(2),(3)이 참이면 A가 참이다라는 것인데 이 때의 이면의 의미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 경우 영희는 이면에 대한 또 다른 약정을 설명해야 하며 이는 무한퇴행 한다. 즉 무한한 이면에 대한 약정을 받아들여야 A가 참임을 알 수 있으므로 convention에 의해 A가 참임이 제시되기 힘든 상황이 되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