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56

심신이원론과 심신일원론 문제에 대한 개괄적인 흐름 현대영미철학에서의 심신 문제는 심신이원론에 대한 비판으로 부터 발전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 및 이로부터 파생됐다고 볼 수 있는 부수현상론의 입장 역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심신이원론이 지니는 문제점으로 부터 부수현상론으로 그리고 그 이후의 입장으로 진행될 것이다. (참고. 심적인과를 중심으로 요약된 문서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1. 심신이원론(혹은 실체이원론)이 지니는 문제점 마음(mind)과 신체(body)가 서로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한다는 심신이원론의 입장은 현대 이전에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입장으로 철학에서는 플라톤으로부터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데카르트에 이르러 보다 체계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데카르트는 이 세계가 근본적으로 정신과 물체로 나누어져 있으며 같.. 2020. 2. 29.
의도와 행위의 허용가능성 그리고 이중결과의 원리에 대해 1. 토마스 네이글의 의무론(절대주의)과 Two-step argument.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지니는 한 가지 차이점은 의무론적 제한(deontological constraint)이다. 이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 되는 행위들의 집합을 규정한다. 의무론적 제한은 side-constraint로도 이해되곤 한다.(cf. Robert Nozick) 이는 행위를 할 때,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side-constraint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무론적 제한을 side-constraint로 이해하는 방식은 의무론적 제한의 강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완화된 형태는 제한을 위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허용가능하다고 여기는 입장이다. 물론 완화된 형태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의무론적 제한의 한계선을.. 2020. 2. 29.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설 요약 칸트의 윤리설은 의무론적 윤리설로 알려져 있다. 이는 그가 윤리학을 선의지에 관한 탐구로 이해했기 때문이며 오직 의지의 자율에 의해 행해진 행위만이 무조건적으로 선한 것이라고 여겼다는 데 기인한다. 또한 여기서의 의지의 자율(Autonomie)이란 스스로 도덕 법칙을 형성하여 이에 따라 행위한다는 것이며 의지의 자유(Freiheit)를 전제한다. 그에게 선의지는 어떤 목표의 추구 및 달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선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선한 것이며 다른 어떤 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선한 것이 아닌 무조건적으로 선한 것이었다. 칸트의 선의지에서 의지(Will)는 실천이성이었고 그는 선의지를 의무 개념과 연결시킨다. 그는 일상적으로 의무감을 느끼는 사람으로부터 선의지가 가장 잘 드러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 2020. 2. 29.
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감성의 윤리학 규범윤리학이 지닌 한 가지 중요한 물음은 어떤 행위가 왜 옳은가에 대한 것이고 이러한 물음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과 도덕적 행위의 동기부여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동기부여력은 정념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여겼다. 먼저 흄은 도덕적 판단이 이성이 아니라 주관적 감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여겼다. 그는 근본적으로 도덕적 진술이 진리값을 지닌다고 여기지 않았다. 예컨대 ‘고의적 살인은 악이다’라는 진술은 행위 그 자체의 성질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를 바라 볼 때 생기는 우리의 감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여긴다. 즉, 여기서의 선과 악이란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행위나 인격 자체.. 2020.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