춰락/서양 옛날 및 EU춰락32 가다머의 주요 개념을 정리해 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다머의 주요 개념을 정리해 봅니다. 1. 선입견(Vorurteil) 가다머에게 선입견이란 제거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역사적 탐구를 행할 때 처하게 되는 고유한 존재론적 상황이다. 선입견은 인간적 존재자의 근원적인 역사상, 역사적 존재자로서의 승인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흔히 선입견하면 먼저 떠올리는 것은 판단하는 주관의 고유한 기호나 선호 내지는 편향성이고 이런 주관적, 사적 요인들이 판단에 영향을 주어 사태(Sache)를 사태 그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부정적 상황이다. 그러나 가다머에 따르면 선입견에 대한 이같은 부정적 이미지는 원래의 개념사를 살펴보았을 때 정당화 될 수 없다. 가다머에 따르면 Vor-urteil 이나 영어의 Pr.. 2020. 2. 7. 아리스토텔레스의 영속적 행복(permanent happiness)에 대해 1. 들어가며 우리의 삶은 행복해야 하는가? 행복의 한자 표현은 ‘幸福’으로 다행할 ‘幸’(행)자에 복 ‘福’(복)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표현의 의미를 따르자면 행복이라는 것은 복된 삶을 누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복된 삶이란 어떠한 삶인가? 어떤 사람은 복된 삶이 부(富)하고 귀(貴)한 삶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갑자기 공자님의 부귀재천(富貴在天)이란 말이 떠오른다. 이 말은 부하고 귀한 것은 하늘의 뜻이므로 우리가 노력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해되곤 한다. 이런 말을 따르자면 ‘행복’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이 제시될 수도 있다. ‘행복하다’는 것은 부하고 귀하게 사는 것이나 삶의 목표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행복은 우리 삶의 목표가 아니며 할 수 없.. 2020. 1. 28.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포괄론적 해석과 우월론적 해석 아리스토텔레스는 (1) 인간의 선(행복)은 덕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바라봄과 동시에 (2) 덕들이 여러 개라면 최선의 그리고 가장 완벽한 덕을 따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정의는 덕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방향에서 해석된다. 하나는 포괄론적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우월론적 해석이다. 포괄론적 해석은 덕을 행복을 이루는 “좋은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모든 덕 전체로 해석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의 두 종류인 “성품적 덕”과 “지적인 덕”을 인간적인 선으로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고 행복은 이러한 다양한 덕들 모두를 포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우월론적 해석은 덕을 sophia와 같은 하나의 덕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조적 삶”이라고 해석한다.. 2020. 1. 26. 플라톤의 『향연』에 나타난 철학의 의미 플라톤 향연의 주제는 에로스이며 소크라테스가 디오티마에게 들었다는 에로스에 대한 얘기를 중심으로 애지로서의 철학이 논의된다. 소크라테스의 순서에 앞서 아가톤은 에로스를 온갖 것들의 원인이고 좋은 것들이고 모든 신들보다 먼저 있었던 것이라는 이야기를 매우 아름답게 표현한다. 그는 그의 대화 이전의 철학자들이 에로스를 단지 화려하고 아름답게만 꾸몄다고 비판한다. 그는 먼저 에로스가 지향적 본성을 지녔음을 강조한다. 말하자면, ‘에로스는 어떤 것에 대한 에로스’라는 것이다. 에로스가 어떤 것에 대한 에로스라는 것은 어떤 것을 욕구한다는 것이고 욕구한다는 것은 자신이 결여한 것을 욕구하는 것이므로 에로스는 자신이 결여한 것을 욕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에로스는 아름다운 것에 대한 사랑이므로 에로스가 결여한.. 2020. 1. 24. 이전 1 ··· 5 6 7 8 다음